본문 바로가기

세상이야기

극단적 선택 막은 말은 “소중한 목숨” 아닌 “많이 힘들었겠네요

극단적 선택 막은 말은 “소중한 목숨” 아닌 “많이 힘들었겠네요”

[동아일보]
[말이 세상을 바꿉니다]죽으려는 사람도 살려내는 말 한마디
《 2012년 겨울 지하철 서울역에서 열차를 기다리던 김건희 씨(32·극단 ‘배우는 사람’ 대표)는 술에 취해 비틀거리며 걷던 노숙인이 점차 선로 쪽으로 다가가는 것을 발견했다. 김 씨는 그를 붙잡은 뒤 마침 친구에게 선물하려고 갖고 있던 귤을 건넸다. 겉에 웃는 얼굴을 그려놓은 귤이었다. “선물은 사람한테 주는 것 아니오….” 자신이 짐승처럼 느껴져 죽으려 했다던 그 노숙인은 “나도 사람이니까 살아야겠네”라며 김 씨의 품에서 한참을 울었다고 한다. 김 씨는 이후 귤에 받는 사람의 캐리커처를 그려 보육원, 소년원생, 노숙인들에게 나눠주고 있다. 》

 


이처럼 지지와 공감의 작은 표시가 자살을 고민하는 사람의 생각을 바꾸는 결정적 계기가 될 수 있다.

보건복지부의 2013년 자살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자살을 기도하는 사람들은 사전에 징후를 보인다. 연령대별 특징도 있다. 10, 20대는 부모에게 갑자기 “미안하다”는 말을 하거나 연예인의 자살 뉴스나 기사를 검색하는 경향이 있다. A 씨(22)는 최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프로필 사진을 자살한 해외 록 가수의 사진으로 바꾸고 “나의 우상은 록의 선구자였지만 그의 생은 외로웠다. 나도 외롭다”라는 글을 남겼다. A 씨는 얼마 뒤 목숨을 끊었다.

다양한 자살 징후를 일반화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평소 주변 사람에게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정말 자살할 사람은 미리 말하지 않는다’는 고정관념을 갖고 자살 징후를 그냥 넘기기도 한다. 복지부의 2013년 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자살한다고 위협하는 사람들이 실제로 자살하는 경우는 드물다’라는 의견에 답변자의 절반 가까이(47.7%)가 ‘그렇다’고 답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자살 의사를 표현하는 사람의 자살 위험은 실제로 높다”며 “자살과 관련된 표현은 지나가는 말로 치부하지 말고 ‘구조 요청 신호’라고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변인이 심각한 고민을 안고 있는 것이 느껴진다면 “요즘 무슨 일 있어?”라고 묻고 직접 만나야 한다. 이명수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장은 “이때 말을 잘 해서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보다는 상대방의 말을 잘 듣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잘 듣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는 느낌을 제대로 전해야 한다. 6월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상담전화(마음이음)로 50대 후반의 남성이 전화를 걸어왔다. 이혼 뒤 외로움과 슬픔을 이길 수 없어서 죽고 싶은 심정이라는 것. 생업이던 택시 운전도 그만뒀고, 자식들은 전화를 받지 않는 상황이었다. 상담원이 자살 생각을 되돌린 말은 대단한 명언이 아니라 “정말 많이 힘들고 외로웠겠다”는 공감과 위로의 말이었다고 한다. 이 남성은 매주 한 번씩 지속적으로 상담을 받고 생업을 다시 시작했다.

섣불리 상대방의 마음을 모두 이해한다고 단정하거나 “마음의 문을 열라”고 강요하는 것도 오히려 대화에 장애가 될 수 있다. 올 7월 연인과의 결별로 자살을 고민하던 20대 여성이 자살예방센터에 상담을 요청했다. 상담원은 “100% 이해를 할 수는 없지만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복잡한 심정이 느껴진다”고 솔직히 말했다. 해당 여성은 “‘생명은 소중하다’는 이야기로 나를 설득할 줄 알았는데 내가 힘든 것이 무엇인지 이해해 주려고 해서 고맙다”고 말했다.

설교조의 말은 하지 말아야 한다. 또 ‘너에게도 잘못이 있다’는 식의 접근은 오히려 자살하려는 생각을 자극할 수 있다. 무작정 ‘낙관적으로 생각하라’는 말도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특정한 단어나 문장이 사람을 살릴 수는 없다. 전문가들은 섣부른 조언보다 상대방의 감정에 공감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강조한다. 자살예방행동포럼(LIFE)의 이명수 운영위원장은 “살아가면서 심폐소생술을 실제로 해볼 가능성보다 주변에서 자살을 고민하는 사람을 도울 가능성이 더 높다”며 “자살예방센터 등에서 그들을 돕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고 말했다.

주변에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권하는 것이 좋다. 복지부 정신건강상담전화(1577-0199)를 이용하면 된다. 보건복지콜센터(129)로 전화하면 각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로 연결해 준다.

“왜 죽고 싶은지 얘기할때 말허리 잘라선 안돼” ▼

현장서 자살 기도자 만나는 사람들 “설득-조언은 역효과… 잘 들어줘야”

“자살하려는 사람의 말을 중간에 자르지 않는 게 제일 중요하죠.”

서울 마포대교를 담당하는 경찰관,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팀장 등 자살 기도자를 현장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한목소리로 경청(傾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7월 어느 날 오전 2시경 마포대교 남단 부근 다리 위에서 30대 중반 여성이 난간을 붙잡고 울고 있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마포경찰서 용강지구대 오희철 경위(54)가 출동해 여성을 난간에서 떼어냈지만 이 여성은 “내가 죽으려는데 왜 너희들이 말리느냐”며 완강하게 저항했다. 여차하면 다시 난간으로 달려갈 것처럼 보였다. 순찰차에도 타지 않겠다고 했다.

오 경위는 마포대교 남단에서 북단까지 함께 걸어가며 이 여성의 사연을 계속 들어줬다. 지병에다 애인과의 이별까지 겹쳐 목숨을 끊으려 했다고 한다. 이 여성은 마포역에 도착한 뒤 “다 털어놓으니 기분이 나아졌다”며 집으로 돌아갔다.

오 경위는 “경험상 ‘소중한 생명을 왜 버리려고 하느냐’ ‘가족도 있는데 왜 죽으려고 하느냐’는 말은 별 도움이 안 된다”며 “자살하려는 사람들이 왜 죽으려고 하는지를 다 들어주고 그에 공감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살 이외에 다른 대안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경청 다음이라는 얘기다. 경찰관과 공감대가 생기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눈물을 흘리며 돌아간다고 한다.

“말을 많이 한다고 마음이 통하는 것이 아니더라고요.”

경찰관들은 평소 달변인지 눌변인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털어놓는다. 오 경위와 같은 지구대에 근무하며 마포대교에서 자살하려는 사람을 막는 일이 잦은 이정남 경위(53)는 스스로 말재주가 없는 편이라고 말했다. 이 경위는 “상대와 내가 대화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려고 노력한다”며 “들어주지 않는데 나만 일방적으로 말하는 것은 역효과만 낸다”고 말했다.

통상 경찰관이 신고를 받고 출동하면 사람이 다리 난간을 넘어가 있는 급박한 상황이 많다. 경찰은 자살 기도자가 일단 뛰어내리지 못하도록 제지하는 역할까지만 한 뒤 자살 기도자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에 연결해 상담을 받도록 한다.

2005년부터 자살 상담을 하고 있는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의 이구상 팀장은 “어떤 내담자든 적어도 15분 이상은 충분히 들어주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자살 기도자가 무슨 말을 하든 실컷 자신의 얘기를 할 수 있도록 상담원은 하고 싶은 말을 참는 것이 원칙이라는 것이다. 이 팀장은 “자살 기도자들은 자신이 처한 문제를 상담원이 대신 해결해주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다만 자신들의 이야기를 진정으로 들어줄 사람을 찾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